아크릴, 과기정통부 115억 'AI스타펠로우십' 참여..."AgentOps 선보일 것"
인공지능 플랫폼 전문기업 아크릴(대표 박외진)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5년 AI스타펠로우십지원사업'에 성균관대학교와 함께 선정, 차세대 AI 에어전트 기술 개발 및 인력 양성에 본격 나선다. 13일 회사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Human×AI 동반자적 협업을 위한 협력 지능형 에이전트 기술 개발'을 목표로 올 7월부터 오는 2030년 12월까지 5년 6개월간 진행한다. 정부 지원금 110억원을 포함해 총 115.5억원을 투입하는 대규모 국책 사업이다. 아크릴은 이번 과제를 통애 이미 보유한 LLMOps 플랫폼 '조나단(Jonathan)'을 헬스케어 분야에 특화한 국내 유일의 'AgentOps' 플랫폼으로의 고도화를 진행한다. 특히, 모델 관리·배포 중심의 전통적 서비스 체계를 넘어, 자율적 특성을 갖는 에이전트들의 구성, 조율, 협력을 빠르게 구성가능한 'Synergistic AI Multi-Agent 기술'을 구현한 본격적인 'AgentOps 시스템'으로 전환시킬 계획이다. 아크릴은 "우리 회사의 LLMOps 플랫폼 조나단은 이미 고객사의 개발 비용과 구축 시간을 70% 이상 단축시키고, GPU 효율화를 통해 LLM 학습 속도를 53% 이상 향상시켜 '2024년 AI 서비스 어워드' 대상을 수상한 검증된 기술"이라며 "이를 AgentOps로 확장해 분산 멀티 에이전트의 워크플로우 구성 및 운영 자동화를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의료 AI 플랫폼 '나디아'와의 시너지 창출도 추진 아크릴은 현재 우즈베키스탄 제4병원 등에서 글로벌 운영 중인 의료 AI 특화 플랫폼 '나디아(NADIA)'와 이번 사업을 통해 개발할 'Synergistic AI Multi-Agent 기술'을 결합해 혁신적인 AI 헬스케어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멀티 도메인 상용 의료 특화 플랫폼 활용 및 에이전트 AI 서비스 개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며 경험과 지식을 축적하는 휴머노이드 체화형 동반자 에이전트 기술 개발 ▲이기종 AI 시스템 간 연동을 위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및 통신 프로토콜 공동 개발 등을 추진한다. 특히, 주목할 점은 '역할 기반 멀티 에이전트 협력 구조' 구현이다. 돌봄 등 실세계 시나리오에 맞춰 진단-응답-모니터링 역할의 에이전트 분업 구조를 설계하고, 외부 시스템 연계 기반 실시간 운영 데이터 처리 및 에이전트 조율 기술을' AgentOps' 플랫폼으로 진화할 '조나단'에 통합해 글로벌 병원들에서 운영중인 '나디아'의 의료 지능을 강화하고 원내 업무 자동화의 속도를 높여 나갈 계획이다. 의료 부문을 중심으로 Agentic AI 기술의 국내외 리더쉽 강화 아크릴은 이미 Agentic AI 분야에서 차별화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2024년 NeurIPS, EMNLP 등 세계 최상위 학회에서 체화형 에이전트를 위한 LLM RAG 확장 기술과 LLM 기반 계층적 태스크 계획과 관련한 연구 결과들을 발표했으며, 한국어 대규모 언어모델 '아름'(A-LLM)은 W&B의 '호랑이 리더보드'의 오픈소스 부문 1위를 4개월간 기록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아크릴은 "이번 국책 사업 수행을 통해 의료·헬스케어 분야의 실사용 중심 관점에서 선도적인 기술 경쟁력과 핵심 인재들을 확보할 것"이라며 "특히 동반 진화형 Carevo(Care+evolution)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의 삶의 변화와 니즈에 적응하며 함께 성장하는 AI 헬스케어 서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아크릴은 연 매출 100억원 이상의 실적을 꾸준히 달성하고 있으며, 최근 기업공개(IPO)를 위한 상장 심사를 진행 중이다. 통일부, 보훈부 등 중앙부처부터 LG전자 등 대기업에 이르는 80여 곳의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2023년 대한민국 인공지능산업대상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SW제품대상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바 있다. 또, 2025년 한국인공지능산업협회(AIIA)가 주관하는 'Emerging AI+X Top 100'에 5년 연속 선정되고, 포브스코리아(ForbesKorea)가 발표한 '대한민국 AI 50'에 2년 연속 선정됐다.